본문 바로가기
역사

프랜시스 크릭의 생애 - DNA 나선구조의 비밀을 가시화하다

by 오지포 2023. 4. 26.
반응형

프랜시스 크릭, 유전학의 선구자

 

프랜시스 크릭(Francis Crick)은 DNA의 발견으로 알려진 유명한 과학자입니다. 그는 제임스 왓슨(James Watson)과 모리스 윌킨스(Maurice Wilkins)와 함께 DNA의 분자 구조를 결정한 공로로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 업적은 유전학의 기초가 되었으며 20세기 생물학에서 가장 중요한 발견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어린 시절과 교육

 

프랜시스 크릭은 1916년 6월 8일 영국 노샘프턴에서 태어났습니다. 크릭은 아버지인 해리 크릭과 어머니인 애니 엘리자베스 크릭의 첫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그는 노샘프턴 문법학교와 런던의 밀 힐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습니다. 그는 런던의 공립대학인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에서 물리학을 공부하고 1937년에 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그는 박사과정 연구를 시작했지만,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면서 연구가 중단되었습니다. 전쟁 중 그는 군사 연구에 참여하게 되어 자기 지뢰와 음향 지뢰 개발에 참여했습니다. 전쟁이 끝난 후, Dr. R.V. 존스가 영국의 전쟁 과학 연구팀의 수장으로서 크릭이 일을 계속하길 원했지만 크릭은 자신의 연구를 계속하기로 결정했고, 그는 이번에는 생물학을 전공하게 되었습니다.

크릭은 1940년 Ruth Doreen Dodd와 결혼했지만 1947년 이혼했습니다. 그 후 1949년 Odile Speed와 결혼하여 3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프랜시스 크릭은 의료연구위원회(Medical Research Council)의 장학금을 주로 지원받아 캠브리지의 스트랭웨이스 연구소에서 일하다가 1949년 캠브리지의 의료 연구 위원회 유닛의 캐번디시 연구소로 이동했습니다. 크릭은 1954년 캠브리지 대학교 Gonville and Caius College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습니다.

 

DNA 분자 구조를 가시화하다

 

훗날 노벨상을 타게 해 준 운명적인 만남은 1951년 미국의 생물학자인 제임스 왓슨이 캐번디시 연구소에 합류할 때 일어났습니다. 이때 생물학계에는 어떤 신비한 핵산이 각 세포의 기능과 구조를 유전적으로 결정하는 중심 역할이 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었습니다. 왓슨은 이 핵산의 3차원 구조에 대한 정보와 지식이 유전에 미치는 영향을 명백하게 할 것이라고 크릭을 설득합니다.

 

결국 크릭은 왓슨과 함께 윌킨스와 로잘린 프랜클린이 수행한 DNA의 X선 회절 연구 및 사진을 사용하여 마침내 DNA라고 알려진 핵산과 물리적 및 화학적 성질이 일치하는 분자 모델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이 모델은 당-인산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얽혀있는 나선형 가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평으로는 평면 유기 기초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들은 이 두 가닥이 분리되면 각각이 세포 내 작은 분자들로부터 이전 연결 가닥과 동일한 새로운 연결 가닥을 생성하는 틀로 사용될 것이라고 이론화했습니다.

 

노벨상 수상 및 후기 생애

 

1953년 Nature지에 실린 크릭과 왓슨의 논문은 DNA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는 기초를 마련했습니다. 그들은 모리스 윌킨스와 함께 1962년 노벨 생리학·의학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핵산의 분자 구조와 생물 내 정보 전달에 대한 의미에 관한 발견"에 대한 것이었습니다.

 

크릭은 중요한 이론적 분자 생물학자였으며 DNA의 나선 구조를 밝히는 연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그는 핵산(DNA 또는 RNA)에서 단백질로 정보가 전달되면 다시 핵산으로 되돌아갈 수 없다는 아이디어를 요약하기 위해 "중심 독마"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널리 알려졌습니다. 그의 나머지 경력 동안 그는 캘리포니아주 라호야의 소크 생물학 연구소에서 저명한 연구 교수로 재직했습니다. 그의 후기 연구는 이론적 신경생물학과 인간 의식의 과학적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한 시도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그는 죽음까지 이 직책을 유지했으며, 키르히호프 코흐에 따르면 "그는 죽음의 침상에서 원고를 편집하며 과학자로서 끝까지 활약했다"라고 합니다.

 

마치며

 

DNA의 분자구조는 오늘날 유전학 이론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발견들 중 하나입니다. 아직도 유전자에 대해서는 밝혀야 할 비밀들이 많지만, 우리는 분자구조의 가시화를 통해 유전이라는 것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이해할 수 있었으며, 각종 유전병의 치료 방법 또한 찾아낼 수 있었습니다. 이는 프랜시스 크릭과 왓슨의 공로가 크기에 우리는 그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